2020.07.30
1
2023.09.07
2
2023.05.12
3
2023.01.27
4
2022.12.30
5
2023.07.17
친환경차는 불과 10년 전만 해도 먼 미래의 사물로 느껴졌었다. 급속한 기술의 발전은 미래를 현재로 당겨 왔고, 어느새 친환경차는 우리 일상의 한 부분이 됐다. 그런데 친환경차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다.
19세기, 자동차가 발명되는 과정에서 가장 큰 과제는 동물이나 사람을 대신할 동력을 찾는 것이었다. 그런데 전기는 기름보다 더 먼저 주목 받았던 동력원이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에 비해 만들기도 쉽고 조작도 쉬워 상용화도 더 빨랐다. 영국의 토마스 파커가 개발한 전기차는 1886년 판매를 시작했다. 가솔린차가 판매되기 5년 전의 일이다.
하지만 전기차는 가격이 비싸고, 충전에 긴 시간이 걸리며, 멀리 이동할 수 없다는 뚜렷한 단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반면 가솔린차는 상품성을 점차 강화해갔다. 1920년대 잇따른 원유 발견으로 유가가 하락하고, 미국의 헨리 포드가 대량 생산 체계를 구축하면서 생산 단가도 대폭 감소했다. 그렇게 전기차는 경쟁력을 잃고 잊혀지는 듯 했다.
(왼쪽) 토마스 파커의 전기차
(오른쪽) 포드사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조립 공정 (출처=Wikipedia.org)
20세기 후반,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화석 연료가 고갈되면서 자동차업계는 친환경차 기술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연료전지, 리튬이온전지 등 배터리 기술의 발전이 이를 뒷받침했다. 2009년 일본의 미쓰비시가 양산형 전기차인 '아이미브(i-MiEV)'를 양산했으며, 2013년에는 현대자동차가 세계 최초의 수소전기차 양산 모델인 '투싼ix Fuel Cell'을 출시했다.
세계 최초 수소전기차 양산형 모델 ‘투싼ix Fuel Cell’(출처=HMG Journal)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각국의 규제가 더욱 강화되면서 친환경차 판매량은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블룸버그NEF(Bloomberg New Energy Finance)는 '2020 전기차 전망(Electric Vehicle Outlook 2020)'를 통해 2015년 45만 대에 불과했던 전기차 판매량이 2019년 210만 대로 늘었으며, 2025년에는 850만 대, 2030년에는 2600만 대를 돌파할 것으로 추정했다. 국내도 마찬가지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친환경차 판매량은 11만 219대로 전년 대비 18.5% 증가했다.
친환경차는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고, 매연도 발생하지 않는다. 유지비도 적게 드는 등 여러모로 장점이 많다. 하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들도 많다. 충전소 등 운행에 필수적인 시설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구매 보조금과 전기차 충전 요금 할인이 줄어들고 있어 점차 가격 부담도 커지고 있다.
시대의 변화 속 자동차 금융의 역할을 고민하다금융의 역할은 소비자에게 자금의 유동성을 제공해 가치 있는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 금융사가 고객이 원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현대캐피탈은 친환경차 보급초기부터 이와 관련된 금융 서비스를 만들어 고객들에게 제공했다. 당장의 사업성보다는 고객이 소비하려는 가치에 주목한 것이다.
친환경차는 차량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가격∙성능∙디자인 등 기존의 가치와 더불어 ‘환경’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소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출처=HMG Journal)
친환경차는 차량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가격∙성능∙디자인 등 기존의 가치와 더불어 ‘환경’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소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출처=HMG Journal)
2012년 현대캐피탈은 업계 최초로 친환경차 전용 리스 상품을 개발하고 중고차 가격 보장서비스를 선보였다. 초기 금액 부담이 크고 중고 판매 시 잔가(미래 시점의 중고차 가격)를 보장받기 힘들다는 것이 친환경차 구매에 걸림돌이 된다는 판단에서였다.
내연기관차를 친환경차로 교체하기를 원하는 운전자들을 위한 특별한 금융 프로그램도 선보였다. 현대캐피탈은 제주도청과 현대∙기아차, 충전기 업체인 ‘차지비’ ‘에스트래픽’과 손잡고 ‘제주도민 대상 전기차 교체 프로그램(이하 전기차 교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리적 특성 상 차량을 육지로 내다 팔 때 많은 탁송료가 발생한다. 때문에 중고차 시장이 도내로 한정돼 있어 내연기관차를 팔고 친환경차를 사려면 경제적인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경우가 잦다. 전기차 교체 프로그램은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차량 매매 시 수수료 할인, 전기차 구매 시 금융 혜택, 보조금 추가 지원, 충전기 무료 제공 등의 혜택으로 친환경차 마련의 부담을 크게 줄였다.
친환경 모빌리티 생활을 구축하는 금융으로현대캐피탈이 참여한 제주도 내 우체국 택배 차량 교체 사업에는 현대자동차의 ‘포터Ⅱ 일렉트릭’ 모델 기반의 차량이 활용될 예정이다. (출처=현대자동차 홈페이지)
현대캐피탈은 일반적인 자동차 금융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친환경 모빌리티 생활을 구축하는 금융으로 그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먼저 공공부문에서 친환경차를 보급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공공부문의 서비스에 친환경차를 활용하는 것은 친환경 모빌리티 생활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은 사람들이 가지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험은 친환경차 시대가 더 빨리 도래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현대캐피탈은 조달청의 공공기관 물자구매 시스템인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전기차 임대 상품을 운영해 공공기관에 친환경차를 보급해 왔다. 공공기관은 특정 비율만큼의 친환경차를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데, 차량 가격이 비싸고 충전기 등 인프라 구축도 힘들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를 현대캐피탈이 해결한 것이다. 친환경차를 보유하는 공공기관에는 충전설비 전문업체와 업무 협약을 맺고 충전기 설치 및 유지∙관리 서비스를 제공했다.
현대캐피탈은 제주도 내 우체국 택배 차량을 친환경차로 바꾸는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우체국물류지원단, 현대차, 그리고 충전기 제조사인 ‘대영채비’와 체결한 업무협약을 통해서다. 이 사업에서 현대캐피탈은 친환경차 리스와 유지∙관리 등 차량 운영에 필요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지난해 10월에는 우정사업본부에 초소형전기차 1000대를 공급하는 리스 계약을 체결했다. 중소상공인들에게 초소형전기차를 보급하기 위한 업무 협약을 진행하기도 했다.
스마트 그리드 시대에는 친환경차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출처=gettyimagesbank.com)
친환경차 시대가 본격화 되면 자동차가 파생시키는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들도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가장 쉽게 예상할 수 있는 것은 충전기와 관련된 사업이다. 친환경차는 배터리가 차량가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배터리 수명이 충분히 늘어나면 배터리만 거래하는 중고∙렌탈 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다. 마치 스마트폰이 그랬던 것처럼 이동식 충전기 사업도 발전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실제 국내 스타트업 ‘에바(EVAR)’는 전기차를 충전하는 이동식 키트를 선보였다. 전력망에 정보기술(IT)를 접목해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시대에도 친환경차의 역할이 기대 된다. 움직이는 에너지저장장치인 친환경차를 전력망과 연결해 주차 중 유휴 전력을 활용하는 개념인 V2G(Vehicle to Grid)를 활용한 비즈니스 가능성 때문이다.
이처럼 다양한 비즈니스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미래의 친환경차 시대 속에서 자동차 금융의 역할 또한 지금과는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캐피탈의 시선은 미래에도 여전히 고객이 소비하고자 하는 가치에 향해 있을 것이다. 그것이 예측 불가능한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길이기 때문이다.
현대카드∙현대캐피탈 뉴스룸을 카카오톡 채널에서 만나보세요.
뉴스룸의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현대카드∙현대캐피탈 소식을 보다 쉽고 빠르게 접할 수 있습니다.
〉〉 채널 추가 하러가기
https://pf.kakao.com/_NxonN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