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03
1
2024.07.17
2
2023.03.14
3
2024.05.09
4
2024.08.28
5
2024.06.05
여러분은 어떻게 과자를 고르시나요? 아마도 봉지에 그려져 있는 과자의 그림이나 사진을 보고 그 향과 식감 그리고 맛을 머리 속으로 그려본 후 선택할 겁니다. 그렇다면 신용카드는 어떤가요? 카드의 용도와 혜택을 플레이트 디자인만 보고도 그릴 수 있나요? 아마도 아닐 겁니다. 그런데 현대카드가 그 어려운 걸 해냈습니다. 칼럼니스트 정우성씨가 말하는 ‘PLCC 맛집’ 현대카드의 PLCC 플레이트 디자인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다시 스타벅스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겠다. 인상적인 순간들은 다 좋은 공간에서 생기니까. 내내 곤두섰던 신경도 카페에서는 조금 누그러지게 마련이라서. 그날도 그런 날이었다. 건조하다 못해 매캐한 사무실에서 내내 일하다 신선한 공기를 마시지 않으면 그대로 증발할 것 같은 날이었다. 외투를 입고 길을 나섰다. 사무실 근처에 있는 스타벅스로 향했다.
커피를 들고 간단한 산책에 나서려다 멈칫했다. 계산대 옆에 있는 스타벅스 PLCC(사업자 전용 신용카드) 다섯 종류가 진열돼 있었다. 그 카드들을 몇 초인가 바라보면서 생각했다. 1. 예쁘다. 2. 다섯 종류나 된다. 3. 만져보고 싶다. 4. 가져야 할까? 5. 저걸 만든 사람은 도대체 무슨 생각이었을까?
‘예쁘다’ 느끼는 순간은 분석할 수 없다. 어떤 식으로든 눈길을 잡아냈다는 건 일단 마음을 움직였다는 뜻. 마음을 통해 몸을 멈춰 세웠다는 뜻이다. 찰나에 벌어진 일이다. 억지로 벌일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름도 모르는 스포츠카에 머무는 시선처럼. 한 번도 들어가 본 적 없는 건축물 앞에서 한참을 감상하는 마음으로. 그래서 다가갔다. 손을 뻗고 하나하나 만져보기 시작했다. 자개처럼 화려한 카드의 이름은 ‘미스티컬(Mystical)’이었다. 이름처럼 신비로운 디자인과 컨셉인데, 가운데 스타벅스 세이렌을 안개처럼 그려놓았다. 옳지. 세이렌은 저런 이미지여야지. 안개 자욱한 바닷가에서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면서 등장한다면, 그래서 선원들의 넋을 쏙 빼갈 수 있다면 응당 그래야지. 게다가 반투명이다.
‘미드나이트(Midnight)’는 우아한 검정, ‘스파클(Sparkle)’은 화려한 진주빛이었다. ‘스테리(Starry)’는 역시 별이다. 스타벅스의 별. 하나하나 만져보다가 이제 한 장의 카드만 남았다. 가장 수수한 디자인이었다. 스타벅스에서 음료를 사면 컵에 둘러주는 슬리브와 같은 색. 내가 그때 왼손에 들고 있던 그 슬리브의 그 색이었다.
작년 10월 선보인 ‘스타벅스 현대카드’의 플레이트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미스티컬(Mystical), 미드나이트(Midnight), 커션!(Caution!), 그리고 스파클(Sparkle)과 스태리(Starry).
이름은 ‘주의!(Caution!)’. 스타벅스 슬리브와 정확히 같은 디자인으로 디카페인과 우유, 샷추가, 시럽 등에 체크할 수 있는 박스를 그려 놓았다. 이 카드에는 커스텀(Custom)에 체크가 되어 있었다. 누가 만든 카드인지는 모르겠으나, 스타벅스를 제대로 즐기는 사람을 생각하며 그린 디자인일 것이었다. 저 사람은 어떤 음료를 받았을까? 스타벅스 커스텀 음료 마니아들끼리 고디바 프라푸치노라고 부르는 그것? 더블샷? 혼자 생각하다 오른손으로 만져봤더니 질감도 그 질감에 가까웠다. 내가 왼손에 들고 있던 컵에 두른 슬리브. 따뜻한 오늘의 커피가 담겨있던 그날의 스타벅스.
그 감촉을 생각하면서 다시 길을 나섰다. 현대카드는 왜 이렇게까지 하는 걸까? 카드는 지갑 속에 있다. 계산할 때만 잠깐 꺼냈다 다시 넣는다. 꺼내놓고 볼 일은 별로 없다.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는 뜻이다. 하지만 조금 전의 스타벅스에서, 음료를 들고 밖으로 나가려다 멈칫한 그 순간은 분명 감상이었다. 이런 순간을 또 어디서 만날 수 있었지? 며칠 전 미술관에서 마음에 쏙 드는 용 모양 연적을 만났을 때? 그 앞에서 몇 분인가 머물면서 ‘갖고 싶다’ 생각하던 그 순간과 비슷했다고 하면 과장일까?
정태영 부회장은 현대카드 DIVE에서 진행하는 <오버 더 레코드>에서 “현대카드의 디자인은 지금 미니멀리즘과 이별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맥시멀리즘’이라는 것은 없기 때문에 다시 도전하는 중이라는 말도. 그가 했던 말에서 ‘이별’을 ‘해방’으로 바꾸면 어떨까? 단순하고 심플한 디자인에서 벗어나, 드디어 자유를 찾았다면? 다섯 장의 스타벅스 PLCC 카드가 전시돼 있던 작은 판 뒤에, 아이디어가 너무 많이 떠올라서 신난 디자이너들이 보이는 것 같았다. 이 정도의 콘셉트와 완성도를 성취하는 일이 쉽지는 않았겠지만… 어렵다고 재미가 없는 건 아니다. 진짜 재미는 좋은 성취, 그 모든 과정에 있는 거니까.
스타벅스 카드만 그런 게 아니다. 요즘 현대카드가 발표하는 거의 모든 PLCC 카드에서는 각기 다른 정도의 ‘흥’이 느껴진다. 가장 높은 텐션으로 신이 난 카드는 배민현대카드다. 이름부터 그렇다. ‘짜장면 시키신분?’에서는 배민 캐릭터 독고배달이 밤거리를 달린다. ‘썬그리’에는 독고배달의 얼굴을 클로즈업 했는데, 그가 쓰고 있는 선글라스 안에 수많은 독고배달이 있다. ‘단체환영’ 카드의 팝아트적 반복, ‘배민반점’의 ‘철가방’ 디테일에는 집요한 재치가 있다. 배민현대카드는 총 8종류다. 네 가지가 더 있다는 뜻이다...
<출처=현대카드 YouTube>작년 11월 공개된 ‘배민 현대카드’ 플레이트 소개 영상.
‘잘생김’ ‘후라이’ ‘오메가3’은 밥상 스페셜이다. 밥 한 숟갈에 얹기 딱 좋은 사이즈의 조미김 한 장, 따뜻한 공기밥 위에 슬쩍 얹었다가 ‘톡’ 터뜨리고 싶은 ‘써니 사이드 업’ 계란 후라이, 홀로그램으로 빛나는 고등어 대가리가 영롱하게 그려져 있다. 이 세 장의 카드로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다. 배달의 민족에서 흔히 주문하게 되는 메뉴는 아니고, 좋은 백반집을 찾는 일이야말로 보석 찾기보다 힘들지만, 이 카드가 지갑 속에 들어있는 기분만은 집 밥처럼 든든할 것 같다.
나머지 한 장은 떡볶이다. 이름은 ‘밀떡? 쌀떡?’이다. 떡볶이를 취향으로 가르는 이름도 사려 깊지만, 진가는 뒷면에 있다. 갑자기 고등학교 때가 생각났다. 친구들이랑 하교하는 길에 시장이 하나 있었는데, 그 시장 분식집에서 떡볶이를 주문하면 딱 이 카드의 뒷면 같은 플라스틱 접시가 나왔다. 거기 말고 다른 어느 분식집이라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누군가의 추억, 지금의 키치, 자영업 현장에서는 실용의 영역에 있는 오브제를 카드 뒷면에 담았다. 마음과 문화와 현장이 카드 한 장에 다 들어있다.
갖고 싶어지는 물건의 기준은 제각각 다를 수 있다. 마냥 예뻐서 갖게 되는 물건도 있고, 그 흔한 ‘가성비’를 따져 구입하는 물건도 있을 것이다. 취향과 실용 사이에서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다 ‘에라 모르겠다’ 질러버리는 물건도 있을 것이다. 그 치열하고 비밀스러운 선택의 과정, 개인적인 선택의 기준은 ‘공(功)’이다. 누가 얼마나 공들인 물건인가. 어디에 얼마나 사려 깊은 마음이 담긴 물건인가. 그걸 기준으로 판단하면 그르치는 일이 거의 없는데, 현대카드가 만든 PLCC 카드에서 느껴지는 에너지가 그런 영역에 있었다. 누군가, 굉장히 뛰어난 사람들이, 한 치의 양보도 없이, 후회 없는 공을 들였다.
근본적으로는 유혹일 것이다. 대한항공과 같이 만든 PLCC 카드를 보면 알 수 있다. 역시, 각각의 카드에 이름이 있다. 크래프트(Craft), 더 윙(the Wing), 더 패스(the Pass), 더 태그(the Tag)다. 더 크래프트와 더 윙은 각각 기체와 날개에서 모티프를 가져왔다. 카드에는 KE017이라고 쓰여 있다. KE는 대한항공의 항공사 코드다. 내내 고단했던 출장을 마치고 귀국하려는 공항 보드에서 ‘KE’를 발견했을 때의 포근한 기분, 마침내 대한항공 비행기에 탑승했을 때의 그 익숙한 환대가 담겨 있는 알파벳이기도 하다.
작년 4월 출시한 ‘대한항공 현대카드’의 플레이트들. (왼쪽부터) 더윙(the Wing), 더패스(the Pass), 더태그(the Tag).
대한항공 PLCC 카드는 한 걸음 더 들어간다. KE017은 LA 노선의 편명이다. 몇 개의 도시가 더 등장한다. 더 패스에 새겨져 있는 대한항공 KE901은 파리로 간다. 더 태그에 있는 KE707은 도쿄행 편명이다. 대한항공카드 150에 있는 더 윙 메탈에는 KE601, 홍콩행 편명이 적혀 있다. 가고 싶어진다. LA, 파리, 도쿄, 홍콩. 이 도시 중 어느 한 곳이라도. 쉬고 즐기면서 좋은 곳에 가치 있는 돈을 쓰고 싶어진다. 나를 위해서라도 좋고,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라면 더 좋고, 오래 기억할 수 있는 물건이나 경험이라면 더 좋을 일이다.
대한항공의 수많은 편명 중에 LA, 파리, 도쿄, 홍콩을 고른 이유는 뭘까? 무한한 반찬 중에 노른자를 살린 계란 후라이와 조미김, 고등어를 고른 이유는? 스타벅스 슬리브에 있는 몇 가지 네모 중 ‘커스텀’에 체크한 이유는 또 뭘까? 현대카드가 만든 PLCC 카드가 펼치는 유혹의 기술은 디테일과 성의다. 모든 카드에 이야기가 있다. 매혹적인 이야기를 거부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물며 소유할 수 있다면.
소비하지 않고는 생존할 수 없고 카드 없는 소비는 애초에 불편했다. 그렇다면 한 끼를 먹어도 기분 좋은 밥상을 찾는 기분으로, 한 번을 꺼내도 산뜻해지는 카드를 갖고 싶어지는 마음이야말로 자연스럽지 않나? 현대카드는 이미 오랫동안 그런 카드를 만들었다. 이제 PLCC 카드를 만나 한 번 더 자유로워졌다. 그 쟁쟁한 브랜드들이 현대카드를 만나 디테일과 자유를 얻었다. 누군가를 멈춰 세우는 디자인. 그 안에 실력과 철학, 집요하고 무수한 스토리, 한 번쯤은 넘어가도 좋을 유혹이 숨어있다.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현대카드∙현대커머셜 소식을
보다 쉽고 빠르게 만나 보세요.